전시를 가도 주로 특별전이 있을 때 예술의 전당을 찾거나 현대미술관 과천관 상설전을 찾는 편이었다. 귀국 후 인스타그램이 현대미술관 서울관 전시로 HOT하길래 지난 일요일 약속 전에 혼자 가봤다.
과천관이 서울대공원 안쪽에 조용히 자리잡은 비밀의 화원같은 느낌이라면, 서울관은 조금더 현대적이었고 도시적이었다. 경복궁 바로 옆에 있어 접근성이 좋지만 어쨌든 길 안쪽에 있어 어느 지하철 역에서 내리든 5분 이상 걸어야 한다.
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: http://www.mmca.go.kr/
관람시간:
-휴관일 :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
-발권시간 : 관람종료 1시간 전까지 가능
-관람시간
관람료:
보통의 경우 4000원 정도에 대부분 입장 가능하다. 나같은 경우에는 만 25세 미만이여서 학생증을 보여주고 무료입장했다.
2016년 5월 1일 내가 관람한 전시는
'망상지구'(2016.4.17~7.17)
현대차 시리즈 2015" 안규철 - 안보이는 사랑의 나라(2015.9.15~2015.05.22) 이다.
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는 현재진행형 -ing
지하 1층에 자리한 전시장은 그리 큰 편은 아니었다. 안규철 작가님은 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부터 줄곧 좋아하던 작가님이셔서 기대하고 있었다. 개념미술 작업을 주로 하시는데, 그래서인지 작품을 볼 때마다 그냥 지나치는 게 아니라 조금 더 머무르고 생각하게 된다. 이걸 왜 이렇게 만드셨을까 작가의 의도가 중요한 작품들이기에.
<피아니스트와 조율사>
이번 전시도 그런 작업의 연장선상이라고 봤다. 작품은 대부분 한 번 들여다보고 그 의미를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. 일부 작품들은 관람자의 참여로 지금도 변화하는 중이고 전시가 끝난 후에야 비로소 완성이 되는 작품들도 있다.
<피아니스트와 조율사>는 매일 피아노 조율사가 전시관을 방문해 해머를 한 개씩 없앤다. 피아니스트는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전시관을 방문해 피아노를 친다. 그러면 처음에는 눈치채지 못하겠지만 그 비어있는 음이 시간이 갈 수록 선명하게 드러날 것이다. 모든 건반이 음을 잃고나면 다시 조율사는 하나씩 해머를 제자리에 놓는다. 피아니스트는 다시 음을 완성해나간다.
체험형 전시, 망상지구: 비둘기가 다했쟈나
인스타그램에 누가 현대미술관 서울관에 갔다고 하면 꼭 사진은 이 비둘기 사진이 올라왔다. 일부는 동영상으로다가. 이 거대한 비둘기 조형물이 실사의 영상물과 합쳐지면 사람들이 혐오하는 그 비둘기가 맞나 싶을 정도로 꽤 오묘한, 그래서 눈을 못 떼는 작품이 된다.
체험형 전시를 위해 인원을 제한하는데 일요일 한낮에 갔는데도 딱히 북적이진 않았다. 들어가기 전에 작품에 대한 설명을 읽었는데도 사실 작품들이 왜 그런 의도들을 갖는 지는 와닿지 않았다..... 심오한 건지 심오한 척 하는건지. 현대미술이야 관람자 마음대로 해석하면 그만이지만, 어려웠다. 그래서 다들 비둘기만 찍어올리는 지도 모르겠다. 그나마 예쁘잖아. 하고.
'미술 ar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내가 간 전시]세종문화회관: 꿈을 그린 화가, 호안 미로전 : 색과 형태가 주는 매력에 허우적대고 싶다면. (0) | 2016.07.31 |
---|---|
[내가 간 전시] 예술의 전당 프리다칼로&디에고리베라 전: 한 사람이 줄 수 있는 최대의 감동. (0) | 2016.07.25 |
[내가 간 전시]모네, 빛을 그리다: 아우라는 없고, 사람만 있는. (0) | 2016.07.03 |
Comments